반응형

책 이야기/책 내용 메모 74

스토리 메이커

부록 「스토리 메이커」 질문 1 당신이 앞으로 쓰려고 하는 이야기를 머릿속에 있는 상태 그대로, 형식에 구애받지 말고 써보라. 질문 2 의 플롯을 한 문장으로 표현하라. 질문 3 이제부터 당신이 쓰려는 이야기의 주인공에 관해 떠오르는 대로 써보시오. 질문 4 당신의 주인공이 현재 안고 있는 문제를 “주인공은 ×××가 결여된 상태다”라는 식으로 표현해보시오. 우선 결여된 것을 구체적으로 쓰고, 그 다음에 그 것이 무엇을 상징하는지 한마디로 써보시오. 질문 5 주인공의 ‘현재’에 관해 설계해보고, 이미지에 가장 맞는 것을 아래 A~D 중에 선택해보라. A. 아직 자신의 운명을 자각하고 있지 않은, 보통 사람으로서의 상태 (0) B. 어떤 식으로든 사회적으로 성공한 상태에 있다 (+) C. 과거에는 성공했었지..

도둑맞은 집중력

51쪽 서던캘리포니아 대학의 마킨 힐버트Martin Heilbert 박사와 카탈로니아 개방대학교의 프리실라 로페즈Pricsilla Lópes 박사가 이와 관련된 미가공 수치를 분석했다. 85쪽 분량의 신문을 읽는 모습을 상상해보자. 1986년에 인간에게 쏟아지는 정보(텔레비전과 라디오, 독서)를 모두 합치면 대햑 85쪽 분량의 신물을 매일 40종 읽는 것과 같았다. 두 사람은 2007년에 그 양이 하루 174종의 신문을 읽는 것과 맞먹는 수준으로 증가했음을 발견했다(2007년 이후로 정보의 양이 더 늘지 않았다면 무척 놀라운 일일 것이다). 이 같은 정보량의 증가가 전 세게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는 느낌을 유발하는 요인이다. 53쪽 나와 만나기 직전 수네는 페이스북의 창립자인 마크 저커버그Mark Zuc..

AI2041

93쪽 딥페이크를 100% 찾아내는 것은 불가능할까? 지금 당장은 어렵겠지만 장기적인 접근법이 한 가지 있다. 원본이 변경되지 않았음을 보장해주는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해 카메라나 스마트폰으로 찍히는 모든 사진과 동영상의 진위를 촬영 시점에 확인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웹사이트에 올리는 모든 사진과 영상은 블록체인 기술로 인증되었음을 보여주면 된다. 이렇게 하면 위조된 이미지나 동영상이 퍼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그러려면 (현재 모든 오디어 수신기가 돌비 디지털을 사용하는 것처럼) 모든 장치가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해야 하고, 블록체인이 이것을 대규모로 처리할 만큼 빨라져야 한다. 이는 아마도 2041년까지는 구현되기 어려울 듯하다. 95쪽 테슬라 모델S의 자율주행 기술인 오토파일럿Autopil..

스몰 스텝 - 내 인생의 다큐 리스트 20

책 발췌 전자책 기준 84% 다큐에 대한 관심은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다큐는 적지 않았다. 자존감의 중요성을 일깨워준 은 같이 나에 대한 다양한 탐구로 이어겼다. 어떻게 하면 일을 더 잘할 수 있을까에 대한 관심은 같은 주제의 다큐로 확장되었다. 다큐는 통상 2년여의 제작 과정을 기친다. 그 과정에서 PD와 작가들은 해당 분야의 전문 서적을 통달하는 것은 물론 국내외 최고 석학들의 인터뷰를 통해 객관적인 검증 과정을 거친다. 다큐에서 소개하는 전문가와 책들을 통해 지식의 깊이와 넓이가 더해지기도 한다. 또한 지적 호기심을 채울 뿐만 아니라 공감되는 글을 쓰는 테 적지 않은 도음을 받았다. 1. 아이의 사생활 (EBS 다큐프라임, 5부작) 2. ..

스몰 스텝 - 필사를 위한 추천 칼럼니스트 6

책 발췌 전자책 기준 74% 글쓰기에 왕도는 없다. 많이 생각하고, 경험하고, 실제로 써보는 것뿐이다. 그런 의미에서 필사는 생각과 쓰는 재미를 일깨우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백지에 글을 쓰는 막막함에서 빗어나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따라 쓰다보면 결국 내 글을 쓰고 싶은 욕망으로 이어진다. 필사는 하나의 주제나 이슈가 어떻게 하나의 글로 완성되는지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게 해준다. 나와 비슷한 생각을 가진 최고 의 글쟁이들이 쓴 글을 매일 따라 써보는 것은 그 자체로도 재미있을 뿐 아니라 어떤 식으로든 생각의 지평을 넓히고 더 좋은 글을 쓰는 데 도움이 된다. 게다가 칼럼 형태의 글은 짧아서 지루할 틈도 없다. 이제 소개할 리스트는 내가 매일 베껴 쓰는 국내 최고의 칼럽니스트들이다. 1. 손석희 ..

스몰 스텝 - TED 강연 베스트 12

책 에서 발췌 전자책 기준 62% 18분의 강연으로 과연 무엇을 얻을 수 있을까? TED 강연을 듣다 보면 알게 된다. 세상의 거의 모든 지식을 배울 수 있음을. 당연한 줄 알았던 것을 다른 시각으로 보게 되고, 피부색도 나라도 종교도 다른 이들의 삶이 결국 나와 같음을 깨닫게 된다. 뚜렷한 자기 생각을 가지고 불가능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주는 울림은 생각보다 크다. TED는 세상의 모든 통찰을 모아놓은 듯한 지식과 지혜의 보고다. 그래서 삶이 나태해질 때마다 18분의 인사이트를 충전한다. 1. Shawn Achor : The happy secret to better work 긍정심리학자인 강연자는 행복과 성공은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에 의해서 좌우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21일간 매일 2분씩 세 줄의 감사..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209~210쪽 서양식 별자리는 밤하늘의 별을 88개의 구획으로 나누고, 해, 달, 행성이 지나는 길에 있는 별자리들을 특별히 황도 12궁이라고 부른다. 반면 우리 옛 선조들은 밤하늘을 세 구역으로 나누고 자미원紫微垣, 태미원太微垣, 천시원天市垣이라고 이름 지었다. 밤하늘의 중심이 되는 북극성 근처는 자미원으로 하늘의 궁궐을 감싸는 울타리다. 자미원 너머에는 정부에 해당하는 태미원, 백성들이 주로 아가는 시장에 해당하는 천시원이 있다. 해와 달, 행성들이 지나는 길에 있는 별들은 스물여덞 개의 별자리, 28수로 묶어두었고, 동방의 청룡, 서방의 백호, 북방의 현무, 남방의 주작이 각각 7수씩을 맡고 있다. 28수는 윷놀이 말판에서도 볼 수 있다. 말판을 잘 보면 한가운데 칸 주위로 28개의 칸이 둘러싸고..

반응형